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한나라 초기에 연왕 한광을 요동왕에 임명하고 또 장도를 연왕으로 하여 계에 도읍을 
정한 일을 검토하면 요동은 현재의 요동으로 보기 어렵다.  '사기' 조선열전에서 나오는 
출새와 입새의 의미는 위만조선과 패수 사이에 형성된 일종의 완충지역이었음을 알려 
준다. 출새와 입새는 한의 침공선으로 출구와 입구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한과 
위만조선의 전쟁은 외신의무 불이행이라는 명분이 외면상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것은 
한의 팽창정책에 원인이 있다. 한의 위만조선 침공로는 발해 연안도로를 사용했을 것으 
로 보이며 한의 위만조선 침공은 가을에 시작되었다.  '사기' 조선열전의 열구는 요하구 
로 인정되며 왕검성 동쪽은 큰 강이 있었을 것이다. 동쪽에 큰 규모의 강이 있고 남쪽은 
해안과 인접하며 서쪽에도 강을 낀 지역은 요하 인근에서만이 찾을 수 있다. 왕검성 
재평양론자들은 대동강 남안의 낙랑토성을 낙랑군 치지로 인정한다. 그러면서 대동강 
북안을 따로 설정하여 왕검성을 위치시킨다. 그렇다면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왜 왕검성 
과 낙랑군 치지가 따로 설정되어 있는지 해명해야 한다. 대동강 북안의 위만조선 수도인

왕검성에 낙랑군 치지를 두지 않고 위만조선의 수도와 관계없는 그 남안에 별도의 
낙랑군 치지를 두었다는 것은 매우 어색하며 타당성도 결여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5 <제38권>명상의 스트레스 감소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발표를 중심으로---김대영 file 관리자 2025.05.21 23
374 <제38권>동북공정과 중⋅한 ‘최치원 현창사업’의 성격---최명솔 file 관리자 2025.05.21 16
373 <제38권>이승만의 복합적인 민족주의 인식과 종교관---조남호 file 관리자 2025.05.21 22
372 <제38권>정조대왕과 수원화성 : 홍익인간 정신의 구현과 현대적 시사점---이철규 file 관리자 2025.05.21 21
371 <제38권>고대 일본의 삼신산(三神山) 및 관련 신사(神社)---이수용 file 관리자 2025.05.21 19
370 <제38권>동북아 선도제천 전통으로 본 강릉단오제의 신격 연구---황남미 file 관리자 2025.05.21 17
369 (37권)현대단학 지감수련과 중국도교 태을금화종지 수련연구:인체기관 '눈'을 중심으로---박율채 file 관리자 2025.05.21 19
368 (37권)현대 단학의 ‘빛 수련’에 관한 고찰 : 솔라수련 체험을 중점으로---김미경 file 관리자 2025.05.21 20
367 (37권)자유민주주의 체제의 불균등 문제 고찰 : 홍익인간사상의 관점에서---김지인 file 관리자 2025.05.21 28
366 (37권)퇴계 천리와 이케다 묘법의 상관연동---김용환 file 관리자 2025.05.21 15
365 (37권)고구려 서계 고찰(5세기 이후)---길이숙 file 관리자 2025.05.21 18
364 (37권)단군의 보편화 과정 연구---김태웅 file 관리자 2025.05.21 17
363 <36권>영가무도의 계승현황 및 대중화 발전방안 -- 정안철 유중열 file 관리자 2024.06.09 1015
362 <36권>「계사하」 제1장의 역철학적(易哲學的) 고찰 -- 김학순 임병학 file 관리자 2024.06.09 917
» <36권>지리적 개념으로 본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 윤병모 file 관리자 2024.06.09 968
360 <36권>말갈문화의 기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민성욱 file 관리자 2024.06.09 957
359 <36권>‘신유림(낭산)’의 선도제천문화와 그 성격 변화 과정 연구 -- 박주연 file 관리자 2024.06.09 955
358 (35권)해양오염, 기후위기, 그리고 홍익인간의 비전 : 지구시민의식의 형성을 중심으로 |나종팔 file 관리자 2024.01.27 1552
357 (35권)뇌기능 조절의 관점에서 바라본 선도 수행 : 지감⋅조식⋅금촉을 중심으로 |신혜숙 file 관리자 2024.01.27 1592
356 (35권)양자(量子)시대 세계관의 변경에 대한 동양 형이상학에서의 이해 : 부(附). 상수학적(象數學的) 기(氣)의 존재와 운동을 중심으로 |민영현 file 관리자 2024.01.27 156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