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한민족의 오랜 역사에서 ‘한국⋅조선⋅고려’의 국명(國名)은 수백 년에서 수천 년의 간격으로 반복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후대 국가가 선대 국가의 영광과 전통을 이어받았 음을 강조함으로써 내부 결속을 다질 수 있었고, 대외적으로도 계통성과 역사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여는 북부여로부터 남부여에 이르는 동안 기본적으로 ‘부여’라 는 국명을 계속 유지했다. 부여는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세력이 등장하거나 고대 국제관 계에서 신흥 패권국가의 등장으로 국가의 위기가 왔을 때마다 변화를 선택했다. 이것을 연구자는 ‘분국(分國)’이라 정의하였다. 분국이란 기존의  권력자가 신진세력에 의해 축출되어  죽임을  당하는 것이 아닌, 양위(讓位)를 한 뒤 자신의 추종 세력과 다른 지역으 로 옮겨 왕실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고대사회에 알려진 제후국과는 다른 개념이 며, 종중(宗中)에서 지파(支派)가 분가하며 이룬 일족(一族)인 문중(門中)의 관계와 유사 하다. 이와 관련하여 분국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 건국 과정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존 왕실과 새 왕실은 혈연적  또는 계통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셋째, 분국을 하는 국가는 반드시 새로운 곳으로 이주하여 건국해야 한다. 넷째, 국명(國名)의 연속성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본국과 분국은 불평등한 관계가 아니다. 이 가운데 평화적 합의와 절차가 제일 중요한 조건이다. 이러한 분국은 부여에서 처음 시작된 것이 아니라, 환국으로부터 분국한 신시배달국의 건국 과정이 분국의 기원으로 볼 수 있으며, 부여가 이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두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북부여를 제외한 동부여와 서부 여의 건국 과정을 분국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소왕 사후 고구려에 투항한 대소의 사촌 동생과 1만여 명의 옛 동부여 유민들은 연나부 관할지에서 새로운 부여(낙씨왕계)를 건국하였는데, 연구자는 그동안 부여국명이 ‘방향 + 부여’로 불렸던 관례를 따라 ‘서부여’로 칭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부여분국도]를 통하여 부여사 전체 의 계보를 정리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0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23
349 [34권]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수 file 관리자 2023.03.19 29
348 [34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에서 바라본 최수운의 시천주사상: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김윤숙 file 관리자 2023.03.19 27
347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22
346 [34권]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file 관리자 2023.03.19 24
345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30
344 [34권]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 |소대봉 file 관리자 2023.03.19 23
343 [34권]한국선도와 ESG 경영의 공생 정신 |허성관 file 관리자 2023.03.19 22
342 (33권)신혜숙--명상 체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통합적 사고 체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07
341 (33권)이근철--「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총론 개정방안 연구」에 대한 비판: 교육이념 ‘홍익인간’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60
340 (33권)임비호--팔만대장경 보전의 홍익생태학적 함의 file 관리자 2022.10.12 111
» (33권)지양미--부여 분국(分國) 과정 고찰 file 관리자 2022.10.12 72
338 (33권)이장웅--한국 고대 웅녀(熊女) 신앙의 전개와 국모신(國母神) 관념의 변화 file 관리자 2022.10.12 135
337 (33권)정경희--흑수백산지구 중기 신석기 옥석기문화의 양대 중심과 소남산문화류의 옥석기 조합 file 관리자 2022.10.12 86
336 (33권)유태용--한국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검토: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138
335 (33권_특별)소대봉--동아시아 선도문화 연구동향과 ‘한국선도’⋅‘한국도교’ 개념의 재검토 file 관리자 2022.10.12 101
334 (33권_특별)석상순--‘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file 관리자 2022.10.12 132
333 (25권_특별)어떻게 용서할까? 효과적인 용서의 이해와 전략 - 김광수 file 관리자 2022.05.18 91
332 (25권_특별)어떻게 사과해야 할까? -효과적인 사과의 구성요소 분석- 오영희 file 관리자 2022.05.18 135
331 (32권)박지영--은평구 ‘천부지모비’의 성격과 변천 과정 연구 file 관리자 2022.03.19 1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