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1920년대 일본의 오모토는 1923년 12월에  ‘조선의 보천교와 제휴’를  시작했다. 오모토의 교주 오니사부로의 의도는 1921년 정부로부터 극심한 제1차 탄압을  받은 이후 만교동근(万教同根)의 기본사상에 기초하여 세계 종교단체들과 제휴하면서 교단 의 위상을 높혀 일본정부와 일본사회의 부정적인 민심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인정 받으려는 것이었다. 조선의 보천교 역시 이 무렵 식민권력으로부터 하나의 종교로 인정 받지  못하고  끊임없이  감시⋅탄압을  받고 있었다. 보천교도 오모토와 제휴 협력을 통해 보편종교,  곧 유사종교가 아닌 기독교와  불교처럼 공인종교로 인정받으려는 노력을 하면서 위기를 벗어나려 했다. 양 교단의 교리에는 친화성이 있었다. 현 질서(미증유의 혼란)의 붕괴와  새로운 세계의 출현(다테가에다테나오시, 개벽)에 대한 갈망이었다. 이에 이르는 과정에는 세 번의 시련(고개, 씨름판)이 놓여 있고, 이를 위해 예정과 실행 프로그램(히나가타, 천지공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아이러니컬하게도 두 교단 모두 당시 정치권력으로부터 심각한 탄압을 받고 있었다. 오모토교는 일본에서 정부에 우호 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는 소위 ‘불경스러운’ 단체였고, 보천교 역시 조선독립을 기도하 는 단체로 낙인찍혀 감시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과 조선의  종교교단 간의 제휴 협력도 종교적인 의미를 떠나 정치적 의도를 지니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양 교단의 제휴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제휴는 이루어지지 못했고 1935년의 제2차 오모토교 탄압과 1936년의 차경석 사망으로 양 교단은 해체되는 운명을 맞게 되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0 (5집)韓國 仙道 運氣丹法 으로 바라본 대맥운기수련 효과-한국선도 대맥운기 고찰 및 효과- (좌성민) file 관리자 2016.10.20 678
349 (7집)고구려 주몽왕의 계보와 건국 장소 및 시점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659
348 (13권)주역의 중천건 중지곤괘 용구용육 효사의 정역적 해석 (윤종빈) file 관리자 2016.10.20 478
347 (21권)강증산 사상에 나타난 선도관(仙道觀) 연구-김귀만 file 관리자 2016.10.20 427
346 (21권)삼국사기 말갈(靺鞨)에 대한 기록 검토-송옥진 file 관리자 2016.10.20 406
345 (19권)삼국유사 고조선 기록에 나타나는 환인과 그 연대기-문치웅 file 관리자 2016.10.20 377
344 (23권)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박지영,임찬경 file 관리자 2019.04.22 374
343 (22권)조선말 김항 정역사상의 역학사적 의의-양재학 file 관리자 2017.03.29 362
342 (18권)차크라 명상 시 자율신경 및 두뇌 영역별 뇌파 특성의 변화-김종상,심준영 file 관리자 2016.10.20 360
341 (21권)노주 김영의의 생애와 사상적 좌표(2)-삼일신고 주해를 중심으로- -박미라 file 관리자 2016.10.20 359
340 (20권)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임찬경 file 관리자 2016.10.20 358
339 (21권)고구려 외교의 성격과 규모 대한 분석-외교가 무역과 전쟁에 끼친 영향- -이정훈 file 관리자 2016.10.20 357
338 (16권)고조선의 도읍지, 건국(建國) 년도,국호 등에 관한 고찰-김진경 file 관리자 2016.10.20 340
337 (18권)삼척지역의 ‘제사 모셔가기’ 고찰-김태수 file 관리자 2016.10.20 338
336 (1집)전병훈의 천부경 이해-김낙필 file 관리자 2016.10.20 335
335 (22권)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등장과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7.03.29 333
334 (13권)한국선도의 지감(止感)ㆍ조식(調息)ㆍ금촉(禁觸)에 관한 小考 (박진규) file 관리자 2016.10.20 332
333 (21권)환단고기의 삼신 하느님에 관한 고찰-이찬구 file 관리자 2016.10.20 331
332 (20권)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김기승 file 관리자 2016.10.20 327
331 (21권)선교(仙敎)의 창교 배경과 신관 연구-불광선인(佛光仙人)을 중심으로- 윤한주 file 관리자 2016.10.20 3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