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한국사에서 청동기시대를 영위했던 사람들의 사유나 관념 체계와 관련된 제의 유적으 로서 환구유구나 환상열석이 고고학 조사에서 다수 발굴되었다. 환구유구는 환호라고도 불리는데, 환호는 기본적으로 청동기시대부터 취락을 방어하기 위하여 시설된 도랑시설 형태로 조성된 유구인 반면, 환구은 취락 방어를 목적으로 한 대규모 방어시설이 아니라 어떤 취락의 자연지리적 환경 가운데 가장 신성한 지역으로 판단되는 지점에 소규모로 조성된 제의적 성격의 유적이다. 그리고 환상열석은 거석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입석을 환형으로 배치한 것이며, 한국의 환상열석은 북한의 석광준에 의해 황해북도 연탄군 오덕 리의 고인돌 발굴조사에서 돌돌림유적이 조사되면서 그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한국에서의 환구유구는 구리 토평동유적, 인천 영종도 는들유적, 인천 당하동유적, 인 천 원당동유적, 부천 고강동유적, 화성 쌍송리유적, 안성 반제리유적, 화성 정문리 유적, 평택 용이동 유적, 완주 구암리유적, 울산 연암동유적, 울산 창평동 유적 등 12곳에서 조사 되었고, 환상열석은 길주 문암리유적, 길주 평륙리유적, 평양 당모루유적, 연탄 송신동유 적, 철원 저탄리유적, 춘천 만천리유적, 양평 삼성리유적, 양평 신원리유적 등 8기이다. 한반도에서 조사된 환구유구 가운데 지리적으로 가장 북쪽에서 조사된 유적은 구리 토평 동 유적이며, 가장 남쪽에서 발굴된 유적은 울산시 창평동 유적이다. 환구유구는 지형상 구릉정상부에 조성되었으나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유적의 환구유구는 한강의 북안 충적 대지에서 조사되었다. 가장 북쪽에서 조사된 환상열석은 길주 문암리유적이며, 반면에 양평 신원리유적은 가장 남쪽에서 발굴된 사례이다. 환상열석도 춘천 만천리유적과 같이 구릉 정상부에 조성되었거나 또는 평양 당모루유적처럼 저지대 평야 경작지역에 축조되기도 한다.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의 구조적 차이점은 환구유구는 구상을 환형으로 조성하였으나 환상열석은 석재를 이용하여 환형으로 배치하였으며, 공통점은 환구유구와 환상열석 모 두 평면 형태는 환형 또는 타원형이며, 일부는 방형이나 장방형 등 방형계로도 조성되었 다. 구상의 단면 형태는 대체로 ‘U’자형이나 일부는 ‘W’자형으로 조성되었으며, 출입구 로 판단되는 구상 단절부가 양쪽에 대칭적으로 조사되었다. 환구유구의 내부에 수혈유구 와 주혈 등의 유구가 조성된 것이 있으며, 적석시설이나 자연암반 같은 구조물이 조사되기 도 하였다. 이들 구조물들은 규모나 유구의 형식에서 대체로 제의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 다. 특히, 이중 굴광된 주혈이나 대목을 견고하게 세우기 위한 지지석이 있는 주혈은 제의 활동과 관련된 입대목의 고고학적 유구로 파악된다.
환구유구의 가장 이른 시기는 인천 영종도 는들 유적이며, 가장 늦은 시기는 점토대토 기가 출토되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부천 고강동 유적이나 안성 반제리유적 등이며, 대체로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에 걸쳐 조성되었다. 환상열석은 연탄 송신동유적에서 팽이형 토기가 출토되었고, 양평 신원리 유적에서 홍도편이 출토되었으며, 양평 삼성리 유적에서 는 점토대토기가 출토되었다. 따라서 환상열석은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 지 오랫동안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청동기시대는 고고학적으로 주변지역과는 분명히 문화적 정체성이 다른 양상 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한국의 신앙이나 예술 또는 의례 같은 인간 고유의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유적 가운데, 환상열석이나 환구유구 같은 사례는 신석기시대 이래로 중국 중원 이나 일본과는 구조적으로나 형식적으로 다소 다른 발전과정을 밟아왔다. 이는 한민족은 토착적 환경에 물질문화가 적응되는 과정에서 관념이나 사고 체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의례적 구조물이나 제의적 공간으로서 환구유구나 환상열석을 조영하여 왔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환구유구나 환상열석은 한국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긴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논평) 중국철학에 대비되는 천부경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해-천부경에 나타난 도가 도교 사상을 읽고 (선도문화 13권-임채우) file 관리자 2017.04.13 283
357 [34권]후기구석기의 후반기, 유럽지역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file 관리자 2023.03.19 527
356 [34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에서 바라본 최수운의 시천주사상: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김윤숙 file 관리자 2023.03.19 525
355 [34권]한국선도와 ESG 경영의 공생 정신 |허성관 file 관리자 2023.03.19 517
354 [34권]한국 고대의 진휼과 ‘공생정치’ |소대봉 file 관리자 2023.03.19 518
353 [34권]태백산 제천문화권, 대관령 ‘국사성황사’의 구조 및 신격 연구 |박지영 file 관리자 2023.03.19 516
352 [34권]울진 후포리유적과 한반도 남부의 신석기 선도제천문화 |최수민 file 관리자 2023.03.19 522
351 [34권]서구적 건강 패러다임과 홍익인간사상의 통합적 사유: 건강한 지구촌을 위한 보완적 협력 |김광린 file 관리자 2023.03.19 524
350 [34권]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수 file 관리자 2023.03.19 528
349 (제29권)한국민족종교사상(韓國民族宗敎思想)의 글로컬리티(Glocality)에 관한 연구/민영현 file 관리자 2020.10.11 575
348 (제29권)일제 강점기 어천절 기념식과 독립운동/조남호 file 관리자 2020.10.11 557
347 (제29권)동아시아 적석단총에 나타난 삼원오행론과 선도제천문화의 확산/정경희 file 관리자 2020.10.11 643
346 (제29권)동녕부 자비령(慈悲嶺)과 고려 서북 경계/김영섭 file 관리자 2020.10.11 634
345 (제29권)곰의 변환과 결합에 관한 상징적 의미에 관하여/송현종 file 관리자 2020.10.11 588
344 (제29권)고려시기 단군 역사기억의 변화와 도선국사 양계론 영향/이경룡 file 관리자 2020.10.11 560
343 (제28권-특별논문)이승휴의 학술사상과 원나라 중국 이해/이경룡 file 관리자 2020.03.19 591
342 (제28권-특별논문)고려 중,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심경호 file 관리자 2020.03.19 575
341 (제28권-특별논문)1930년대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이승휴와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조남호 file 관리자 2020.03.19 609
340 (제28권)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김철수 file 관리자 2020.03.19 579
339 (제28권)일본신도 신악가(神樂歌)의 신격(神格)연구-아지메(阿知女)를 중심으로/이강민 file 관리자 2020.03.19 6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