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 활동

『선도문화』 논문

본고는  불광중학교 운동장에 있다가 1975년에  불광중학교가 운동장을 넓히면서 지금 있는 불광중학교 뒷산으로 옮긴 은평구 천부지모비(天父地母碑)의 성격과 변천과 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우리나라 도처에는 수많은 서낭당이 있다.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아직도 시골마을 입구나 마을 중심에 서낭당 혹은 신목이 세워져 있는 경우가 많다. 예부터 우리 민족은 하늘의 밝음과 자신 안의 밝음이 하나 되어 그 밝음을 세상에 펼치고자 하였고 그것이 제천수행, 제천의례라는 형식을 통하여 이어져 내려왔다. 처음엔 산 정상에서 행해지던 제천의례가 점점 마을로 내려오면서 제천을 행하는 장소가 서낭당이 되었고 서낭당 이외에도 신목, 장승,  솟대, 선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바뀌었다. 
은평구 천부지모비는 마을제당이 서낭당 같은 제천사의 모습이 아닌 비석의 형태로 전해지는 사례이다. 당초 불광중학교 운동장 자리에 있을 때에는 제당 안에 비석을 모신 상태였다가 1975년에  불광중학교가 운동장을 넓히면서 지금 있는 불광중학교 뒷산으로 제당은 없애고 비석만 옮겼다고 한다.
천부지모비를 연구해 본 결과 천부지모비는 지리적으로 북한산 올라가는 산중턱에 위치하고 불광천이라는 하천이 자연환호 역할을 하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 중 제천사 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천단의 원형인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과 우하량 제단군의 위치 또한  높지  않은 산구릉에 위치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천부지모비는 그 일대 사람들이 다함께 모여 제천하기 좋은 장소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적으로도 천부지모비는 한민족의 삼원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천(天)과 지(地) 그리고 김매월로 대표되는 인(人)을 비석에 새겨 우리 민족 전통의 천ㆍ지ㆍ인  삼원사상 을 잊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밥할머니 전승과의 연계성으로 천부지모비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천부지모비는 밥할머니를 신격으로 하는 한민족의 제천의례와 관련 있는 제천단 이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서기전 4000년 전부터 면면히 이어온 한민족 제천단의 최적의 입지인 ‘환호를 두른 구릉성’ 입지에 ‘천ㆍ지ㆍ인’ 삼원사상을 내포하고 비석 형태로 전해지고 있는 천부지모비의 제천단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천단의 모습이 아닌 천부지모비와 같은 비석 혹은 신목, 장승, 솟대, 선돌 등 여러 형태로라도 지금까지  남아있는 유적은 전국 도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많은 제천단의 변형적인 형태가 민속이나 무속적인 시각을 넘어 선도적인 해석으로 그 문화재적인 가치가 재인식되고 복원하는 사례가 많아지길 희망한다.

Atachment
첨부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8 (제28권)배달국 초 백두산 천평문화의 개시와 한민족(예맥족·새밝족·맥족)의 형성/정경희 file 관리자 2020.03.19 724
357 (5집)韓國 仙道 運氣丹法 으로 바라본 대맥운기수련 효과-한국선도 대맥운기 고찰 및 효과- (좌성민) file 관리자 2016.10.20 721
356 (31권)한국선도의 지감⋅조식⋅금촉 수행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제천수행/조채영 file 관리자 2021.09.26 705
355 (31권)고대 평양의 위치를 통해서 본 발해 중경현덕부의 위치에 관한 연구/민성욱 file 관리자 2021.09.26 689
354 (제28권)일본신도 신악가(神樂歌)의 신격(神格)연구-아지메(阿知女)를 중심으로/이강민 file 관리자 2020.03.19 689
353 (7집)고구려 주몽왕의 계보와 건국 장소 및 시점 (박병섭) file 관리자 2016.10.20 680
352 (31권)홍익인간사상과 홍익가족문화-고구려의 서옥제를 중심으로/이용수 file 관리자 2021.09.26 666
351 <27권>8세기경 평양성의 위치 추정-고광진 file 관리자 2019.11.01 650
350 (제29권)동아시아 적석단총에 나타난 삼원오행론과 선도제천문화의 확산/정경희 file 관리자 2020.10.11 641
349 (31권)한국선도의 신인합일 전통으로 바라본 ‘선교’의 신인합일론/김윤숙 file 관리자 2021.09.26 640
348 (제29권)동녕부 자비령(慈悲嶺)과 고려 서북 경계/김영섭 file 관리자 2020.10.11 634
347 (33권)이장웅--한국 고대 웅녀(熊女) 신앙의 전개와 국모신(國母神) 관념의 변화 file 관리자 2022.10.12 631
346 <26권>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이경룡 file 관리자 2019.01.15 631
345 (제28권)고전(古典)에 담겨있는 꿈과 해몽에 대한 고찰/조규문 file 관리자 2020.03.19 629
344 (25권)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19.04.22 629
343 (33권)유태용--한국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검토: 환구유구와 환상열석을 중심으로 file 관리자 2022.10.12 622
342 <27권>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II)-정경희 file 관리자 2019.11.01 621
341 <27권_특별강연>한국선도 신인합일 전통의 현대적 계승-만월도전 file 관리자 2019.11.01 620
340 <27권>단군 48대 왕조사 자료발굴과 그 의의-임채우 file 관리자 2019.11.01 620
339 (30권)홍산문화 ‘곰(맥)-마고삼신-매’ 표상의 기원과 변천--정경희 file 관리자 2021.05.28 6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